본문 바로가기
마음가는데로서평

[에세이] 이방인의 생존 기록, 망가지기 쉬운 영혼들

by 두목의진심 2024. 2. 21.
728x90

 

 

"우리에게 회복력이란 고결한 특성이라기보다는 억압받으며 강요당하는 삶의 방식이다. 적응하거나 죽거나 둘 중 하나다." 8쪽, 우리의 이야기는 중요하다

 

저자 에리카 산체스. 멕시코 이민자의 딸이자 시인이고 소설가이면서 드폴드 대학교수로 재직 중이다. 멕시코계 미국 이민자 여성의 정체성을 그린 <나는 완벽한 멕시코 딸이 아니야>를 썼다.

 

읽기 시작하고 얼마 되지 않아 '내가 이걸 읽고 앉아 있어야 하나?'라는 생각이 들 만큼 그의 질의 안녕과 HIV에 걸려 죽으면 집안 망신이라는 둥 시답지 않은 농담이 페이지를 채우는 동안 나는 세상 모든 HIV 유병자가 들었다면 솔찬히 마상을 입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과 아울러 좀 삐딱한 시선이 되고 말았다.

 

암튼 페미니스트의 이야기라기보다 자신의 자위와 문란한 성관계로 야기되는, 말하자면 낙태 같은 일들이 여러 문화·사회적 배경 혹은 아포리즘에 세뇌 당해 벌어진 일쯤이고 일말의 자책감도 존재한다는 그런 잡다한 이야기가 계속돼버려서 덮을까 말까 망설였다.

 

"가난해도 되는 사람은 없다. 가난을 방치하는 것은 인류의 수치다. 하지만 필요에서 창조성과 관대함이 길러진다는 것이 사실이다. 그것은 생존방식이다. 우리는 부족하기에 관계를 형성한다."49쪽, 광대 되기

 

하지만 중간중간 틈새로 비집고 들어오는 인종과 문화적 측면에서 남성에게 깔봄 당하는 여성차별과 지정학적 빈곤을 싸잡아 조롱하는 듯하면서 한편으로 인종차별적 현실을 꼬집기도 해서 당장 책장을 덮진 못하게도 한다. 가만, 근데 리사 심슨이 페미니스트였나? 심슨 가족을 제대로 본 적이 없어서 궁금했다. 어느 정도길래 우상까지?

 

79쪽, 광대 되기

 

헷갈린다. 유머와 조롱의 경계가. 그가 주장하는 유머, 대부분 신체적 비하나 조롱 섞인 농담에 대한 부분은 분명 페미니스트답지 않은 게다가 인권적으로 보자면 비인권적인 차별에 더 가까운 발언들인데 그런 것들을 지적하고 하지 못하게 하는 것들이 억압이라고 하는 것이 '하고 싶은 것'에 대한 억압은 부당함이라고 할 수 있을지 고민되는 지점이 있다.

 

한편 그의 삶을 따라가다 보면 갑자기 나타난 벽에 부딪히는 느낌을 받는다. 몰입까지는 아니어도 잘 읽다가 '어?'하며 길을 잃는 순간이 있다. 아무튼 얼마간 스페인 조상의 피가 섞인 태생으로 미국에서 멕시코 이민자의 후손인데다 정숙함을 강요받는 집안 분위기와는 다르게 튀고 자유분방한 삶을 꿈꾸는 저자는 집안에서 유일하게 대학물을 먹으면서 꿈틀대는 욕망에 충실하게 살아낸다.

 

그는 관계에서 주도권을 갖는 방법으로 주로 농담을 무기 삼는데 사실 그의 질염과, 외모, 피부색, 차별주의자, 정신질환과 자살 사고에 대한 농담은 남성우월적인 세상에서 여성, 그것도 유색 이민자 여성으로 겪는 부당함에 대한 저항이다. 그래서 예민함을 웃음으로 무마하면서 회복을 위한 여유의 시간을 가지려 애쓴 건 아닐까.

 

"절대 아물지 않는 상처. 내 눈에는 그 여성들이 보이지 않는 칼날 위에서 춤을 추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오랜 시간이 지난 지금 생각해 보니 어릴 적 읽었던 어느 전설이 떠오른다. 더 이상 서 있을 수 없을 때까지, 발에서 피가 날 때까지 춤을 추었던 소녀에 관한 이야기 말이다. 어쩌면 그 소녀도 절대 아물지 않을 상처를 치유하려 애쓰고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어쩌면 우리 모두 그러고 있는지도. 어쩌면 살아 있다는 게 바로 그런 것일지도." 104쪽, 모국으로 돌아가다

 

이 책은 세상에 섞이지 못하고 가장자리로 밀려난 소수자들의 이야기일 수도 있고, 끊임없이 실패하고 망가지면서 마주하는 현실에서 절망하는 대신 자기만의 방식으로 살아남는 것, 그렇게 너덜너덜해진 멘탈을 회복시키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216쪽, 즐기는 게 좋아

 

그의 이야기는 거침없다. 너무 걸러지지 않은 말과 표현들로 그의 강요된 무의식, 우울, 자살 시도와 임신 중단의 실패와 좌절 그 속에 처연히 박히는 실없는 농담 등은 솔직히 이해와 공감의 어디쯤이라서 그냥 넘기기 쉽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방인이란, 완전 타인이 아니라 친절하지 않은 세상에서 누구나 밀려나는 소수자 혹은 이방인이 될 수 있으며 그런 고통스러운 삶에서 우리는 어떻게 회복하려 애쓰는가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의 이방인으로서의 삶에 대한 생존 기록이다.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쓴 글입니다.

728x90